구글 캘린더 × Notion 루틴 연동 가이드 – 일정과 목표를 하나로 관리하는 법
루틴이 일정과 따로 노는 이유? 연결이 안 돼서입니다. 구글 캘린더와 Notion을 연동하면 하루가 ‘흐름’으로 정리됩니다. 🌿
💡 왜 캘린더와 노션을 함께 써야 할까?
구글 캘린더는 일정 중심, 노션은 루틴·목표 중심의 툴입니다. 이 둘을 연결하면 “오늘 할 일”과 “왜 하는지(목표)”가 같은 화면에 나타납니다. 즉, 시간과 방향이 연결된 하루를 만들 수 있죠.
예를 들어, ‘운동’ 일정이 구글 캘린더에 등록되면 노션의 ‘루틴 보드’에도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하면 루틴 점검 + 일정 확인을 한 번에 끝낼 수 있습니다.
🧭 1단계: 기본 수동 연동 (링크 임베드 방식)
구글 캘린더를 노션에 표시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. API나 코드가 필요 없으며, 몇 초면 끝납니다.
- 구글 캘린더 → 설정 ⚙ → 캘린더 통합 → “공개용 iFrame 링크” 복사
- 노션 페이지 열기 →
/embed입력 → 복사한 링크 붙여넣기 - 화면에 구글 캘린더가 그대로 나타납니다.
단점: 노션에서 직접 일정 수정은 불가(조회 전용)
⚙️ 2단계: 자동 동기화 (Google Calendar API 없이)
노션에서 직접 캘린더 항목을 추가하고 싶다면 캘린더 뷰와 데이터베이스 속성을 활용합니다.
- 노션에서 “캘린더 뷰” 페이지 생성
- 속성 추가 → “날짜(Date)”와 “상태(Status)” 설정
- 노션 DB를 구글 캘린더와 수동으로 맞춰 사용하면 API 없이도 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팁: 구글 캘린더의 “주요 일정”만 노션에 기록하고 세부 일정은 구글에서 관리하면 중복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.
🔁 3단계: 자동화 서비스 활용법 (Zapier·Make)
완전 자동화를 원한다면 Zapier나 Make 같은 자동화 서비스를 활용하세요. 코드 없이 “캘린더 이벤트 → 노션 페이지 생성” 자동화가 가능합니다.
- Zapier 접속 → “Google Calendar + Notion” 선택
- Trigger: “New Event in Google Calendar”
- Action: “Create Page in Notion” 설정
- 이벤트 제목, 날짜, 설명을 노션 속성에 매핑
반대로 “노션 루틴 완료 시 → 구글 캘린더에 기록” 자동화도 가능합니다. (예: 루틴 체크박스를 완료하면 “운동 완료” 일정 자동 등록)
🌱 활용 팁: 루틴 관리와 시간 블록 설계
- 루틴 보드: “운동·공부·독서” 등 카테고리별 DB 생성 → 캘린더와 자동 연결
- 시간 블록: 구글 캘린더에서 색상별 블록 지정 → 노션에서 태그로 일치시킴
- 회고 루틴: 주 1회, 노션에서 캘린더 일정을 요약해 ‘이번 주 성취 요약’ 작성
일정은 시간의 흔적이고, 루틴은 방향의 기록입니다. 이 둘이 만날 때 진짜 성장 루프가 완성됩니다.
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구글 캘린더를 노션에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나요?
Zapier·Make 같은 자동화 서비스를 사용하면 가능합니다. 무료 요금제에서도 기본 연동은 충분히 커버됩니다.
Q2. API 코딩 없이도 가능한가요?
가능합니다. 링크 임베드 방식과 자동화 도구만으로 대부분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Q3. 모바일에서도 연동이 되나요?
노션과 구글 캘린더 모두 모바일 앱을 제공하므로, 설정 이후에는 PC와 동일하게 연동 상태로 유지됩니다.